2007년 3월 22일 목요일

배포판 중심 메세지 번역의 폐해 - 커뮤니케이션 부재

과거에도 그랬듯이, 배포판 중심의 메세지 번역은 보통 그 배포판 안에서만 사용되고 그 안에서 수명을 다한다.

우분투의 런치패드/로제타는 온라인 메세지 번역 시스템으로 기술적으로는 내가 생각했던 이상적인 모습이지만, 배포판 중심의 번역 운영은 (한국이든 세계 어디든)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가질 수밖에 없다. 예전에 런치패드/로제타에 의해 한국어 번역이 시작되었을 때 내가 우려했던 것처럼 업스트림과 따로 노는 현상이 벌어지곤 한다.

간단히 예를 들어 우분투 feisty의 한국어 번역 중에서 KDE 관련 프로그램은 로제타에서 많은 부분이 번역되어 있다.  많은 부분이 비슷한 모습을 보이지만, 꽤 많이 번역된 일부분을 보면,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
그럼 KDE upstream의 한국어 통계를 들어가서 이 부분이 업스트림에 어떻게 되어 있는 지 확인해 보자.  위에 나온 kdebase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.  거의 반영이 되어 있지 않다.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
그럼 보너스로 또 한 가지 비교해 보자.  한소프트리눅스는 어떨까?  한소프트리눅스 오픈 프로젝트에서 kde-i18n 패키지의 src.rpm 파일을 받아서 확인해 보았다.
zeus:~/tmp/kdebase/kde-i18n-ko-3.5.6/messages/kdebase$ for X in kcm*po; do msgfmt --stat $X -o /dev/null; done
번역된 메시지 70개.
번역된 메시지 47개.
번역된 메시지 68개.
번역된 메시지 121개.
번역된 메시지 21개.
번역된 메시지 8개.
번역된 메시지 67개.
번역된 메시지 34개.
번역된 메시지 180개.
...
어라?  -_-  완벽한데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?  과연 누가 이걸 번역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PO 파일의 Last-Translator: 엔트리를 찾아보았다.
zeus:~/tmp/kdebase/kde-i18n-ko-3.5.6/messages/kdebase$ grep Last-Translator: kcm*po
kcmaccess.po:"Last-Translator: root <root@localhost.localdomain>\n"
kcmaccessibility.po:"Last-Translator: root <root@localhost.localdomain>\n"
kcmarts.po:"Last-Translator: root <root@localhost.localdomain>\n"
kcmbackground.po:"Last-Translator: root <root@localhost.localdomain>\n"
kcmbell.po:"Last-Translator: root <root@localhost.localdomain>\n"
kcmcgi.po:"Last-Translator: root <root@localhost.localdomain>\n"
kcmcolors.po:"Last-Translator: root <root@localhost.localdomain>\n"
kcmcomponentchooser.po:"Last-Translator: root <root@localhost.localdomain>\n"
kcmcrypto.po:"Last-Translator: root <root@localhost.localdomain>\n"
...
다름 아닌 한소프트리눅스 측에서 자체 번역한 결과물이다.  (위의 결과로 알 수 있는 사실, 번역자는 루트 계정으로 KBabel을 이용해 번역한다.)  이것이 한소프트리눅스 광고에 등장하곤 하는 "전문 번역팀을 통해 자연스럽지 못했던 한글 번역부분을 말끔히 개선하였습니다"의 실체인가?

"위와 같은 꼴"을 보고 절대 잘 한다는 소리는 절대 못하겠지만,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이제는 적어도 이해는 할 수 있다.  FOSDEM 2007의 비디오 중에서 리눅스 커널에 관한 세션을 보면 이런 얘기가 있다 -- "임베디드 분야의 리눅스 커널의 발전이 더딘 이유는 피드백이 없기 때문인데, 칩 메이커를 제외하고 완제품을 만드는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개발기간도 짧은 데다가 스펙이 한정되어 있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거의 없기 때문에 피드백의 현실적인 필요가 적다".  배포판 업체들도 마찬가지이다.  번역에 관한한 충분한 맨파워를 동원할 수 있다면 (우분투와 한소프트리눅스는 그 방법을 다르게 취한 것 같지만) 업스트림 피드백으로 얻을 건 별로 많지 않다.  런치패드/로제타의 자발적인 참여자들도 자기들의 번역 결과물이 자기가 사용하는 OS에 반영되는 것만으로도 상당히 만족하고, 또 다른 업스트림에 반영하는 건 런치패드/로제타보다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에 부담스러워하는 것도 같다.

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.  업스트림에 번역을 반영하는 장벽을 낮추는 게 한 가지 방법이지만, 어떻게 쉽게 컨트롤할 수 없는 부분이다. 적어도 내가 상당부분을 컨트롤하고 있는 그놈 / 데비안 번역은 가능할 것도 같은데, 앞으로 생각할 부분이다..

댓글 1개:

  1. trackback from: kernel 개발자의 변명
    배포판 중심 메세지 번역의 폐해 - 커뮤니케이션 부재 - 류창우님의 글



    보다가 뜨끔한 내용을 인용해보자.

    FOSDEM 2007의 비디오 중에서 리눅스 커널에 관한 세션을 보면 이런 얘기가 있다 -- "임베디드 분야의 리눅스 커널의 발전이 더딘 이유는 피드백이 없기 때문인데, 칩 메이커를 제외하고 완제품을 만드는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개발기간도 짧은 데다가 스펙이 한정되어 있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거의 없기 때문에 피드백의 현실적인 필요가 적..

    답글삭제

뜬금없이 문법 따위를 지적하거나, 오래된 글에 링크가 깨진 걸 지적하는 등의 의미 없는 댓글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. 그러한 경우 답 없이 삭제합니다. 또한 이해 당사자이신 경우 숨어서 옹호하지 마시고 당사자임을 밝히시길 바랍니다.

참고: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